
지난해 1,200개에서 1,641개로 확대, 학교 SW교육 기반 강화 지원
교육부(부총리겸 교육부장관 김상곤)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3월 13일(화) 2018년도 소프트웨어(SW) 연구·선도학교 1,641개교를 최종 선정하여 발표한다.
올해부터 단계별로 시작되는 SW교육 필수화*를 대비하고 학교 현장의 성공적인 안착을 지원하기 위해 2015년부터 양부처가 공동으로SW교육 연구·선도학교를 선정‧운영하여 왔다.
* 2015 개정 교육과정(’15.9월 고시)에 따라 초등학교는 ’19년부터 5~6학년 ‘실과’과목에서 17시간 이상, 중학교는 ’18년부터 단계적으로 ‘정보’과목에서 34시간 이상 SW교육 필수 실시
그 동안, SW교육 연구·선도학교에서는 SW교육의 우수 사례 발굴·확산 및 교수‧학습방법 등의 노하우를 확산함으로써, 지역 내 인근 학교에 대해SW교육의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 (‘15) 228개교 → (’16) 900개교 → (‘17) 1,200개교→ (’18) 1,641개)
이에, 교육부와 과기정통부는 시‧도교육청과 협력하여 2018년SW교육 연구·선도학교 1,641개교(초 940개교, 중 456개교, 고 245개교)를 최종 선정, 운영한다.
연구·선도학교는 교과 수업 내에서 SW교육을 실시하고, 창의적 체험 활동(자율, 봉사, 진로활동), 자유학기, 학생 동아리, 방과후 학교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SW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 밖에도, 인근학교 교사 연수 및시범 수업 실시, 학부모 설명회 개최, 학생 체험활동 프로그램 운영 등 학교 중심의 SW교육을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교육부와 과기정통부는 교당1천만원 이내의 운영 지원금과 함께,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전체 연구‧선도학교를 대상으로 4월 초까지 착수 워크숍을 실시하고, 각 시도별 전문가로 구성된 운영지원단이학교를 방문, 현장의 애로사항 등에 대해 컨설팅을 진행할 예정이다.
교육부 최은옥 평생미래교육국장은 “SW교육 필수화가 올해부터 적용되는 만큼, 연구‧선도학교의 운영 사례가 일반 학교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과기정통부, 시도교육청과 협력하여다양한 지원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 노경원 소프트웨어정책관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SW교육을 누구나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며, “학교를 중심으로 SW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필요한 정책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