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용사가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인지 여부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1. 8. 26. 선고 중요판결]

2020도18346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위반   (바)   상고기각 [미용사가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인지 여부가 문제된 사건] ◇피고인이 운영한 미용실에서 일한 미용사가 근로자에 해당하는지 여부◇ ☞  피고인이 운영한 미용실에서 일한 미용사에 대한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기소된 사안에서, 원심은 동업약정의 내용과 수익…

수용재결에서 정한 손실보상금을 공탁한 재개발조합이 현금청산대상자를 상대로 수용개시일로부터 인도일까지의 사용이익을 부당이득으로 청구하는 사건[대법원 2021. 8. 26. 선고 중요판결]

2019다257474   손해배상(기)   (바)   파기환송 [수용재결에서 정한 손실보상금을 공탁한 재개발조합이 현금청산대상자를 상대로 수용개시일로부터 인도일까지의 사용이익을 부당이득으로 청구하는 사건] ◇주거이전비 등의 미지급을 이유로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2017. 2. 8. 법률 제14567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제49조 제6항에…

업무 담당자가 피해자에 대한 징계절차 회부 안내문을 회사 게시판에 게시한 사건[대법원 2021. 8. 26. 선고 중요판결]

2021도6416   명예훼손   (차)   파기환송 [업무 담당자가 피해자에 대한 징계절차 회부 안내문을 회사 게시판에 게시한 사건] ◇형법 제310조의 위법성조각사유에 해당하기 위한 요건인  ‘오로지 공공의 이익에 관한 때’의 의미와 그 판단 기준◇   공연히 사실을 적시하여 사람의…

오토바이를 운전하다가 입게 된 상해에 대해 상해보험의 보험금 지급을 구하자 이륜자동차 계속 운전에 대한 알릴 의무 위반을 이유로 보험계약 해지를 주장한 사건[대법원 2021. 8. 26. 선고 중요판결]

2020다291449   보험금   (바)   파기환송 [오토바이를 운전하다가 입게 된 상해에 대해 상해보험의 보험금 지급을 구하자 이륜자동차 계속 운전에 대한 알릴 의무 위반을 이유로 보험계약 해지를 주장한 사건] ◇‘이륜자동차를 계속적으로 사용하게 된 경우에는 사고발생의 위험이 현저하게 변경…

재개발조합이 관리처분계획의 인가.고시가 있은 후 사업시행자가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에 따른 손실보상의 완료를 주장하며 현금청산대상자에 대하여 민사소송으로서 종전의 토지나 건축물에 관한 인도청구를 하는 사건[대법원 2021. 8. 26. 선고 중요판결]

2019다235153   부동산인도 청구의 소   (바)   파기환송(일부) [재개발조합이 관리처분계획의 인가․고시가 있은 후 사업시행자가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에 따른 손실보상의 완료를 주장하며 현금청산대상자에 대하여 민사소송으로서 종전의 토지나 건축물에 관한 인도청구를 하는 사건]…

위법한 점유침탈로 인한 유치권 소멸을 이유로 손해배상을 구하는 사건[대법원 2021. 8. 19. 선고 중요판결]

2021다213866 손해배상(기) (아) 파기환송   [위법한 점유침탈로 인한 유치권 소멸을 이유로 손해배상을 구하는 사건]   ◇본권 침해로 발생한 손해배상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에도 민법 제204조 제3항에서 정한 1년의 제척기간이 적용되는지 여부(소극)◇   민법 제204조에 따르면, 점유자가 점유의…

남매 사이에 유류분 반환을 구하는 사건[대법원 2021. 8. 19. 선고 중요판결]

2017다235791 유류분반환 청구 (아) 파기환송(일부)   [남매 사이에 유류분 반환을 구하는 사건]   ◇공동상속인 중 특별수익을 받은 유류분권리자의 유류분 부족액 산정 시 유류분액에서 공제할 순상속분액을 법정상속분과 당해 유류분권리자의 특별수익을 고려한 구체적인 상속분 중 어느 것에…

허위.과다입원으로 수령한 보험금 상당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기간이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1. 8. 19. 선고 중요판결]

2018다258074 수수료 반환 (다) 파기환송   [허위․과다입원으로 수령한 보험금 상당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기간이 문제된 사건]   ◇허위․과다입원으로 수령한 보험금 상당 부당이득반환청구권에 적용할 소멸시효기간의 판단 기준◇   상행위인 계약의 무효로 인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은 민법 제741조의 부당이득 규정에 따라…

임기만료 후 이사로서의 권리의무를 행사하던 퇴임이사가 회사를 상대로 상법 제385조 제1항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해임처분의 무효확인 등을 구하는 사건[대법원 2021. 8. 19. 선고 중요판결]

2020다285406 주주총회결의무효확인등 (나) 상고기각   [임기만료 후 이사로서의 권리의무를 행사하던 퇴임이사가 회사를 상대로 상법 제385조 제1항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해임처분의 무효확인 등을 구하는 사건]   ◇상법 제385조 제1항에서 해임대상으로 정하고 있는 ‘이사’에 ‘임기만료 후 이사로서의 권리의무를…

남편이 아내의 외도 사실을 알고도 가정을 유지하기로 하고 그후 오랜 기간 부부생활을 유지하다가 이번에는 아내가 혼인파탄을 이유로 이혼을 청구한 사건[대법원 2021. 8. 19. 선고 중요판결]

2021므12108 이혼, 위자료 및 재산분할청구 (가) 파기환송   [남편이 아내의 외도 사실을 알고도 가정을 유지하기로 하고 그후 오랜 기간 부부생활을 유지하다가 이번에는 아내가 혼인파탄을 이유로 이혼을 청구한 사건]   ◇원고(婦)의 외도 사실을 알고도 피고(夫)가 가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