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고의 이사회의결이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안[대법원 2022. 3. 17. 선고 중요판결]

2020다219928   임금   (다)   파기환송 [피고의 이사회의결이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안] ◇취업규칙의 불이익 변경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기준◇   사용자가 취업규칙의 변경에 의하여 기존의 근로조건을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려면 종전 근로조건 또는 취업규칙의 적용을 받고…

근무형태의 개편이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안[대법원 2022. 3. 11. 선고 중요판결]

2018다255488   근무형태변경시행무효확인   (나)   상고기각 [근무형태의 개편이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안] ◇취업규칙의 불이익 변경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기준◇   근로기준법 제94조 단서에서 정한 취업규칙의 불이익 변경이란 사용자가 종전 취업규칙 규정을 개정하거나 새로운 규정을 신설하여…

매각위로금 반환 약정이 근로기준법 제20조에 위반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2. 3. 11. 선고 중요판결]

2017다202272   위로금반환   (나)   파기환송 [매각위로금 반환 약정이 근로기준법 제20조에 위반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건]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일정한 금전을 지급하면서 의무근로기간을 설정하고 이를 지키지 못하면 그 전부 또는 일부를 반환받기로 약정한 경우, 그것이 근로기준법 제20조가 금지하는 약정인지…

배액배상을 명한 외국판결의 승인·집행이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2. 3. 11. 선고 중요판결]

2018다231550   집행판결   (아)   파기환송 [배액배상을 명한 외국판결의 승인·집행이 문제된 사건] ◇미국 하와이주 판결이 인정한 성문법상 3배의 배상 부분을 승인하는 것이 대한민국의 법률이나 사회질서 또는 대한민국이 체결한 국제조약의 기본질서에 현저히 반하는 결과를 초래하는지 여부(소극)◇   가….

판결로 이행의무가 확정된 지연손해금 채권을 양수한 사람이 그 양수금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청구하는 사건[대법원 2022. 3. 11. 선고 중요판결]

2021다232331   양수금   (나)   파기자판 [판결로 이행의무가 확정된 지연손해금 채권을 양수한 사람이 그 양수금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청구하는 사건] ◇1. 판결로 이행의무가 확정된 지연손해금에 대하여는 이행청구를 하더라도 지체책임이 생기지 않는지(소극), 2. 금전채무 원본은 당해 사건의 소송물이 아니어서…

피고로부터 부동산을 증여받은 원고들이 피고를 상대로 증여를 원인으로 하여 위 부동산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를 하자, 피고가 원고들 중 1인의 피고에 대한 범죄행위가 있었음을 이유로 증여의 해제를 주장한 사건[대법원 2022. 3. 11. 선고 중요판결]

2017다207475(본소), 2017다207482(반소)   소유권이전등기(본소), 소유권이전등기(반소)   (나)   파기환송 [피고로부터 부동산을 증여받은 원고들이 피고를 상대로 증여를 원인으로 하여 위 부동산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를 하자, 피고가 원고들 중 1인의 피고에 대한 범죄행위가 있었음을 이유로 증여의 해제를 주장한 사건] ◇망은행위에 의한…

가정보호처분 결정에 대한 항고사건의 관할법원이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2. 2. 18. 자 중요결정]

2022어3   항고기각결정에 대한 재항고   (사)   파기자판 [가정보호처분 결정에 대한 항고사건의 관할법원이 문제된 사건]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따른 가정보호처분 결정에 대한 항고에 형사소송법 제407조가 준용되는지 여부(소극)◇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하 ‘가정폭력처벌법’이라 한다)은…

임시의 지위를 정하기 위한 가처분에서 보전의 필요성 판단기준[대법원 2022. 2. 8. 자 중요결정]

2021마6668   가처분이의   (자)   파기환송   [임시의 지위를 정하기 위한 가처분에서 보전의 필요성 판단기준]   ◇계약 해제․해지의 효력정지 가처분에서 계약위반으로 채권자가 입은 손해가 금전적 손해배상의 방법으로 전보될 수 있는 경우 보전의 필요성이 인정되는지 여부(소극)◇   임시의…

임대주택법위반죄 해당 여부가 문제된 사안[대법원 2022. 2. 24. 선고 중요판결]

2021도10407   임대주택법위반   (바)   상고기각 [임대주택법위반죄 해당 여부가 문제된 사안] ◇임대사업자인 회사(피고인은 대표이사)가 다른 임대사업자로부터 임대의무기간이 지난 후에 분양전환승인을 받은 공공건설임대주택을 매입한 경우, 위 임대주택은 여전히 구 임대주택법(2015. 8. 28. 법률 제13499호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으로 전부…

조합원이 조합을 상대로, 주택재개발조합 조합장이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41조 제1항 전문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음을 이유로 조합장지위부존재 확인을 구한 사안[대법원 2022. 2. 24. 선고 중요판결]

2021다291934   조합장지위 부존재확인   (가)   파기환송 [조합원이 조합을 상대로, 주택재개발조합 조합장이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41조 제1항 전문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음을 이유로 조합장지위부존재 확인을 구한 사안] ◇1.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41조 제1항의 전문과 후문의 의미(전문: 선임 자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