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소유를 목적으로 한 토지임차인이 임대기간이 만료되자 지상물매수청구를 하는 사건[대법원 2021. 12. 10. 선고 중요판결]

2021다260671 건물등철거 (바) 파기환송   [건물 소유를 목적으로 한 토지임차인이 임대기간이 만료되자 지상물매수청구를 하는 사건]   ◇지상물매수청구권의 취지 및 해석원칙◇   민법은 임대차계약 종료 시에 계약 목적 대지 위에 존재하는 지상물의 잔존가치를 보존하자는 국민경제적 요청과…

원고가 유한회사에서 주식회사로 변경되었다는 이유로 소송수계신청을 한 사건[대법원 2021. 12. 10. 선고 중요판결]

2021후10855 등록무효(특) (바) 상고기각   [원고가 유한회사에서 주식회사로 변경되었다는 이유로 소송수계신청을 한 사건]   ◇당사자가 유한회사에서 주식회사로 조직변경 되었다는 사유가 소송중단 사유가 되어 소송절차 수계가 필요한 것인지 여부◇   상법상 주식회사의 유한회사로의 조직변경은 주식회사가 법인격의…

공중위생관리법상 네일미용업 신고의 주체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1. 12. 10. 선고 중요판결]

2021도8993 공중위생관리법위반 (바) 상고기각   [공중위생관리법상 네일미용업 신고의 주체가 문제된 사건]   ◇영업신고를 하지 않고 네일미용업을 한 위반행위의 주체가 누구인지 여부 ◇   ☞ 공중위생관리법상 영업신고를 하지 않고 네일미용업을 하였다는 공소사실로 기소된 사안에서, 원심은 이…

감정평가법인이 감정평가의 주체로서 부담하는 구 「부동산 가격공시 및 감정평가에 관한 법률」(2016. 1. 19. 법률 제13796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제37조 제1항의 성실의무의 의미[대법원 2021. 10. 28. 선고 중요판결]

2020두41689 과징금부과처분취소청구 (다) 상고기각   [감정평가법인이 감정평가의 주체로서 부담하는 구 「부동산 가격공시 및 감정평가에 관한 법률」(2016. 1. 19. 법률 제13796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제37조 제1항의 성실의무의 의미]   ◇‘소속감정평가사’가 구 「부동산 가격공시 및 감정평가에…

감정평가법인이 감정평가의 주체로서 부담하는 구 「부동산 가격공시 및 감정평가에 관한 법률」(2016. 1. 19. 법률 제13796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제37조 제1항의 성실의무의 의미[대법원 2021. 10. 28. 선고 중요판결]

2020두41689 과징금부과처분취소청구 (다) 상고기각   [감정평가법인이 감정평가의 주체로서 부담하는 구 「부동산 가격공시 및 감정평가에 관한 법률」(2016. 1. 19. 법률 제13796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제37조 제1항의 성실의무의 의미]   ◇‘소속감정평가사’가 구 「부동산 가격공시 및 감정평가에…

본안사건 항고부의 심문기일의 수명법관이 단독으로 행한 가사소송법 제62조의 사전처분 결정에 대한 재항고 사건[대법원 2021. 11. 25.자 중요결정]

2021스713 사전처분 (타) 파기환송   [본안사건 항고부의 심문기일의 수명법관이 단독으로 행한 가사소송법 제62조의 사전처분 결정에 대한 재항고 사건]   ◇「헤이그 국제아동탈취협약 이행에 관한 법률」 제12조에 따른 아동반환심판청구사건의 항고심 진행 중 면접교섭에 관한 사전처분 신청이 제기되어…

권리금 회수기회 보호의무의 예외 조항인 ‘상가건물을 1년 6개월 이상 영리목적으로 사용하지 아니한 경우’의 의미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1. 11. 25. 선고 중요판결]

2019다285257 손해배상(기) (마) 파기환송   [권리금 회수기회 보호의무의 예외 조항인 ‘상가건물을 1년 6개월 이상 영리목적으로 사용하지 아니한 경우’의 의미가 문제된 사건]   ◇구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2018. 10. 16. 법률 제1579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0조의4 제2항 제3호에서…

주식질권의 실행으로 주주가 된 자의 신주발행무효청구 사건[대법원 2021. 11. 25. 선고 중요판결]

2018다304007 신주발행무효청구 (차) 파기환송   [주식질권의 실행으로 주주가 된 자의 신주발행무효청구 사건]   ◇질권이 설정된 주식을 0원에 처분한 것이 유효한지 여부◇   상법 제59조는 “민법 제339조의 규정은 상행위로 인하여 생긴 채권을 담보하기 위하여 설정한 질권에는…

경찰이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위반(카메라등이용촬영) 혐의로 임의제출받은 휴대전화를 피고인과 함께 탐색하다가 다른 범행에 관한 동영상을 발견하고 이를 함께 기소한 사건[대법원 2021. 11. 25. 선고 중요판결]

2019도6730 성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위반(카메라등이용촬영) (바) 파기환송   [경찰이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위반(카메라등이용촬영) 혐의로 임의제출받은 휴대전화를 피고인과 함께 탐색하다가 다른 범행에 관한 동영상을 발견하고 이를 함께 기소한 사건]   ☞ 다른 범행에 관한 동영상은 임의제출에 따른 압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