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ㆍ미포 국가산업단지에 입주한 폐기물처리(소각)업체인 원고의 폐기물소각시설 증설을 위한 산업단지개발계획 변경신청을 피고가 거부한 사건[대법원 2021. 7. 29. 선고 중요판결]

2021두33593 산업단지개발계획변경신청 거부처분 취소청구의 소 (타) 파기환송   [울산ㆍ미포 국가산업단지에 입주한 폐기물처리(소각)업체인 원고의 폐기물소각시설 증설을 위한 산업단지개발계획 변경신청을 피고가 거부한 사건]   ◇원고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피고의 재량적 판단이 현저히 합리성을 결여하였거나 형평이나 비례의 원칙에 뚜렷하게…

마약 사범에 대한 영장에 의한 모발, 소변의 압수의 적법 여부와 2차적 증거의 증거능력이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1. 7. 29. 선고 중요판결]

2021도3756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위반(향정) (카) 파기환송   [마약 사범에 대한 영장에 의한 모발, 소변의 압수의 적법 여부와 2차적 증거의 증거능력이 문제된 사건]   ◇1. 영장 발부의 사유로 된 범죄 혐의사실과 무관한 별개의 증거를 압수한 경우, 이를 유죄…

항고소송에서의 처분사유 추가.변경에 관한 사건[대법원 2021. 7. 29. 선고 중요판결]

2021두34756 시정명령 및 계고처분 취소 (카) 파기환송   [항고소송에서의 처분사유 추가․변경에 관한 사건]   ◇처분사유에 기존 ‘건축법 제11조 위반’에서 ‘건축법 제20조 제3항 위반’을 추가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소극)◇   처분청이 처분 당시에 적시한 구체적 사실을 변경하지…

일부 사업 부문의 폐지에 따른 소속 근로자 해고가 정리해고 및 통상해고로서 정당성을 갖추었는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1. 7. 29. 선고 중요판결]

2016두64876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 (아) 파기환송   [일부 사업 부문의 폐지에 따른 소속 근로자 해고가 정리해고 및 통상해고로서 정당성을 갖추었는지 문제된 사건]   ◇1. 해고의 정당성에 관하여 노동위원회에서 주장하지 아니한 사유라도 행정소송에서 주장할 수 있는지 여부(한정 적극),…

명의수탁자가 양도소득세 대납에 따른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하는 사건[대법원 2021. 7. 29. 선고 중요판결]

2020다260902 대납금 (아) 파기환송   [명의수탁자가 양도소득세 대납에 따른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하는 사건]   ◇명의수탁자에게 귀속되는 환급금이 또 다른 명의신탁 토지 양도로 인한 양도소득세에 충당된 경우 명의수탁자가 명의신탁자에게 양도소득세 대납을 이유로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회의록 양식에 의한 해고의 서면통지의 효력을 다투는 사건[대법원 2021. 7. 29. 선고 중요판결]

2021두36103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 (가) 파기환송   [회의록 양식에 의한 해고의 서면통지의 효력을 다투는 사건]   ◇근로기준법 제27조의 해고의 서면통지에 해당하기 위해서는 해당 서면이 반드시 ‘해고통지서’ 등과 같은 명칭을 갖추어야 하는지(소극)◇   근로기준법 제27조는 사용자가 근로자를 해고하려면…

재개발사업 사업시행자가 현금청산대상자를 상대로 부당이득반환을 구하는 사건[대법원 2021. 7. 29. 선고 중요판결]

2019다300484 부당이득금 (가) 상고기각   [재개발사업 사업시행자가 현금청산대상자를 상대로 부당이득반환을 구하는 사건]   ◇재개발사업 사업시행자가 주거이전비 등을 지급하지 않아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2017. 2. 8. 법률 제14567호로 전부개정되기 전의 것) 제49조 제6항 단서에서 정한 손실보상을…

소송비용상환청구권의 소멸시효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1. 7. 29.자 중요결정]

2019마6152 소송비용액확정 (가) 재항고기각   [소송비용상환청구권의 소멸시효가 문제된 사건]   ◇판결에서 정한 국가의 소송비용상환청구권이 판결 확정시부터 진행하는지◇   민법 제165조는 제1항에서 ‘판결에 의하여 확정된 채권은 단기의 소멸시효에 해당한 것이라도 그 소멸시효는 10년으로 한다.’고 정하면서 제3항에서…

소송비용상환청구권의 소멸시효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1. 7. 29.자 중요결정]

2019마6152 소송비용액확정 (가) 재항고기각   [소송비용상환청구권의 소멸시효가 문제된 사건]   ◇판결에서 정한 국가의 소송비용상환청구권이 판결 확정시부터 진행하는지◇   민법 제165조는 제1항에서 ‘판결에 의하여 확정된 채권은 단기의 소멸시효에 해당한 것이라도 그 소멸시효는 10년으로 한다.’고 정하면서 제3항에서…

원고가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 시행 이전에 피고와 사이에, 매수자금을 함께 부담하여 피고 명의로 부동산을 매수하되 피고가 추후 이를 처분하여 처분대가를 균분하기로 하는 정산약정을 체결하였고, 이에 따라 피고가 선의인 매도인으로부터 부동산을 매수하였다가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 시행 이후에 이를 처분하자, 원고가 위 정산약정에 기하여 처분대금의 1/2의 지급을 구하고, 피고는 부동산실명법 시행으로 위 정산약정이 무효가 되었다고 다투는 사건[대법원 2021. 7. 21. 선고 중요판결]

2019다266751 손해배상(기) (마) 파기환송   [원고가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 시행 이전에 피고와 사이에, 매수자금을 함께 부담하여 피고 명의로 부동산을 매수하되 피고가 추후 이를 처분하여 처분대가를 균분하기로 하는 정산약정을 체결하였고, 이에 따라 피고가 선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