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임제한 위반으로 인한 변호사법위반죄에서 공소시효 완성 여부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2. 1. 14. 선고 중요판결]

2017도18693 변호사법위반등 (차) 상고기각   [수임제한 위반으로 인한 변호사법위반죄에서 공소시효 완성 여부가 문제된 사건]   ◇변호사법 제113조 제5호, 제31조 제1항 제3호 위반죄의 공소시효 기산점(수임행위가 종료한 때)◇   변호사법은 제31조 제1항 제3호에서 ‘변호사는 공무원으로서 직무상 취급하거나…

양육비용의 분담의 기산일이 문제되는 사안[대법원 2022. 1. 14. 선고 중요판결]

2021므15145(본소), 2021므15152(반소) 이혼 등 (바) 파기환송   [양육비용의 분담의 기산일이 문제되는 사안]   ◇1. 제1심이 비양육친을 양육자로 정하고 장래양육비의 지급을 명하였을 때 항소심법원이 장래양육비의 기산점에 관해 유의하여야 할 점, 2. 법원이 양육비용의 분담을 정함에 있어…

의료기관 운영자의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대한 장래의 요양급여비용 채권양도에 대한 채권자취소를 구하는 사건[대법원 2022. 1. 14. 선고 중요판결]

2018다295103 사해행위취소 (자) 상고기각   [의료기관 운영자의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대한 장래의 요양급여비용 채권양도에 대한 채권자취소를 구하는 사건]   ◇의료기관 운영자가 채무초과 상태에 있었을 때 금융기관이 의료기관 운영자에게 금원을 대출하면서 이에 대한 담보로 상환만료일까지 발생할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대한…

집합건물의 일부공용부분을 판단하는 방법이 문제된 사안[대법원 2022. 1. 13. 선고 중요판결]

2020다278156 주차권존재확인등의소 (가) 상고기각   [집합건물의 일부공용부분을 판단하는 방법이 문제된 사안]   ◇1. 건물의 어느 부분이 구분소유자 전원이나 일부의 공용에 제공되는지 판단하는 기준, 2. 이 사건 지하주차장이 아파트 구분소유자들의 일부공용부분인지 여부(적극)◇   집합건물 중 여러…

채권을 채무자에게 귀속시키기로 한 지명채권양도계약 체결 후 해당 채권을 제3자인 원고가 가압류하였을 때 지명채권양도의 제3자 대항요건과 가압류결정의 효력이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2. 1. 13. 선고 중요판결]

2019다272855 손해배상(기) (타) 상고기각   [채권을 채무자에게 귀속시키기로 한 지명채권양도계약 체결 후 해당 채권을 제3자인 원고가 가압류하였을 때 지명채권양도의 제3자 대항요건과 가압류결정의 효력이 문제된 사건]   ◇채권양도에 따른 채권의 귀속주체 변경은 대항요건을 갖추지 못한 채권양도에서도…

취업규칙 중 급여체계에 관한 규정이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경된 사안[대법원 2022. 1. 13. 선고 중요판결]

2020다232136 임금 (다) 파기환송(일부)   [취업규칙 중 급여체계에 관한 규정이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경된 사안]   ◇불리하게 변경된 취업규칙보다 유리한 근로조건을 정한 근로계약의 내용이 우선하여 적용된다는 법리의 적용 범위◇   근로자에게 불리한 내용으로 변경된 취업규칙은 집단적…

특허발명에 대한 신규성 부정의 선행기술이 공연히 실시되었는지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대법원 2022. 1. 13. 선고 중요판결]

2021후10732 등록무효(특) (라) 파기환송   [특허발명에 대한 신규성 부정의 선행기술이 공연히 실시되었는지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   ◇특허발명 출원 전 계약에 따라 납품하여 시운전한 제품에 대하여 비밀유지의무가 인정되는지 여부(적극)◇   특허법 제29조 제1항 제1호는 산업상…

경찰이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위반(카메라등이용촬영) 혐의로 임의제출받은 휴대전화를 탐색하다가 약 10개월 전에 촬영된 다른 범행에 관한 영상을 발견하고 이를 함께 기소한 사건[대법원 2022. 1. 13. 선고 중요판결]

2016도9596 성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위반(카메라등이용촬영) (카) 파기환송   [경찰이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위반(카메라등이용촬영) 혐의로 임의제출받은 휴대전화를 탐색하다가 약 10개월 전에 촬영된 다른 범행에 관한 영상을 발견하고 이를 함께 기소한 사건]   ◇불법촬영 범죄 등의 경우 임의제출된 전자정보…

공인노무사가 의뢰인을 대행하여 고소장 작성·제출하거나 피고소사건에 대하여 의견서를 작성·제출하여 변호사법위반으로 기소된 사건[대법원 2022. 1. 13. 선고 중요판결]

2015도6329 변호사법위반 (카) 파기환송   [공인노무사가 의뢰인을 대행하여 고소장 작성·제출하거나 피고소사건에 대하여 의견서를 작성·제출하여 변호사법위반으로 기소된 사건]   ◇구 공인노무사법(2020. 1. 29. 법률 제1689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1항 각 호에서 정한 공인노무사의 직무 범위◇…

공인노무사가 의뢰인을 위하여 산업안전보건법위반 사건 등에 대하여 의견서를 작성하거나 법률상담을 하여 변호사법위반으로 기소된 사건[대법원 2022. 1. 13. 선고 중요판결]

2015도6326 변호사법위반등 (카) 파기환송   [공인노무사가 의뢰인을 위하여 산업안전보건법위반 사건 등에 대하여 의견서를 작성하거나 법률상담을 하여 변호사법위반으로 기소된 사건]   ◇구 공인노무사법(2020. 1. 29. 법률 제1689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1항 각 호에서 정한 공인노무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