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자가 수익자들을 상대로 사해행위취소 및 원상회복으로 배당이의를 구한 소송이 계속 중 채무자에 대하여 파산이 선고된 사안[대법원 2022. 5. 26. 선고 중요판결]

2022다209987   배당이의 등   (차)   파기환송 [채권자가 수익자들을 상대로 사해행위취소 및 원상회복으로 배당이의를 구한 소송이 계속 중 채무자에 대하여 파산이 선고된 사안] ◇법원이 채권자취소소송의 계속 중 채무자에 대한 파산선고 사실을 알지 못한 채 파산관재인의 소송수계가 이루어지지…

영어조합법인의 출자자는 제2차납세의무자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조세의 취소를 구하는 사건[대법원 2022. 5. 26. 선고 중요판결]

2019두60226   조세부과처분취소   (마)   상고기각 [영어조합법인의 출자자는 제2차납세의무자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조세의 취소를 구하는 사건] ◇영어조합법인의 출자자도 제2차 납세의무를 부담하는 과점주주에 해당하는지 여부◇   구 국세기본법(2018. 12. 31. 법률 제1609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39조…

책임재산 감소 유형의 제3자 채권침해에 기초한 손해배상청구에서 불법행위 이후 채무자에 대하여 진행된 파산절차를 손해산정에 고려할 것인지 여부가 문제된 사안[대법원 2022. 5. 26. 선고 중요판결]

2017다229338   부당이득금   (나)   파기환송  [책임재산 감소 유형의 제3자 채권침해에 기초한 손해배상청구에서 불법행위 이후 채무자에 대하여 진행된 파산절차를 손해산정에 고려할 것인지 여부가 문제된 사안] ◇1. 불법행위에 따른 재산상 손해의 산정 기준시(=불법행위 시), 2. 책임재산 감소 유형의…

외국환거래 신고 없이 미국 호텔 카지노 운영진으로부터 미화 100만 달러 상당의 칩을 대여받아 신고의무를 위반한 경우 칩 대금 상당액을 구 외국환거래법(2017. 1. 17. 법률 제1452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0조에 따라 추징할 수 있는지가 문제된 사안[대법원 2022. 5. 26. 선고 중요판결]

2022도2570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횡령)등   (사)   상고기각 [외국환거래 신고 없이 미국 호텔 카지노 운영진으로부터 미화 100만 달러 상당의 칩을 대여받아 신고의무를 위반한 경우 칩 대금 상당액을 구 외국환거래법(2017. 1. 17. 법률 제1452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0조에 따라 추징할…

추심채권자들의 일부 추심금 청구와 소멸시효의 중단 범위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2. 5. 26. 선고 중요판결]

2020다206625   추심금   (마)   파기환송 [추심채권자들의 일부 추심금 청구와 소멸시효의 중단 범위가 문제된 사건] ◇다수 추심채권자들이 압류경합으로 인해 집행채권 합계액이 피압류채권액을 초과하자 자신들의 채권액 비율로 안분하여 각자 일부 추심금만 청구하여 승소한 경우 잔부 채권에도 재판상 청구로서의…

가공거래 판정에 따른 부가가치세 부과처분에 장기부과제척기간이 적용되는지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대법원 2022. 5. 26. 선고 중요판결]

2022두32825   법인세 및 부가가치세 부과처분 취소   (사)   파기환송(일부) [가공거래 판정에 따른 부가가치세 부과처분에 장기부과제척기간이 적용되는지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 ◇1. 원고, A, B, C 사이에 순환적으로 이루어진 거래가 진성거래에 해당하는지(소극), 2. 피고가 가공거래 판정 후…

원고가 남편인 피고를 상대로 민법 제840조 제1호(배우자의 부정한 행위), 제2호(악의의 유기), 제6호(혼인을 계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를 주장하면서 이혼, 위자료, 재산분할 등을 청구한 사안[대법원 2022. 5. 26. 선고 중요판결]

2021므15480   이혼 등   (아)   파기환송 [원고가 남편인 피고를 상대로 민법 제840조 제1호(배우자의 부정한 행위), 제2호(악의의 유기), 제6호(혼인을 계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를 주장하면서 이혼, 위자료, 재산분할 등을 청구한 사안] ◇민법 제840조 제6호에서 정한 이혼사유인  ‘혼인을 계속하기…

추징금채권을 피보전채권으로 한 사해행위취소소송 사건[대법원 2022. 5. 26. 선고 중요판결]

2021다288020   사해행위취소   (자)   상고기각 [추징금채권을 피보전채권으로 한 사해행위취소소송 사건] ◇추징금채권이 성립되기 전에는 단기 제척기간이 기산되지 않는지 여부(소극)◇   추징금 재판은 민사집행법에서 정한 집행절차 또는 국세징수법에 따른 국세체납처분의 예에 따라 집행할 수 있고(형사소송법 제477조 제3항, 제4항),…

건강보조식품 판매업자의 보호의무[대법원 2022. 5. 26. 선고 중요판결]

2022다211089   손해배상(기)   (가)   상고기각 [건강보조식품 판매업자의 보호의무]  ◇건강보조식품 판매업자에게 고객에 대한 보호의무가 인정되는지(적극)◇   건강보조식품 판매자가 고객에게 제품을 판매할 때에는 건강보조식품의 치료 효과나 부작용 등 의학적 사항에 관하여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여 고객이 이를 바탕으로 긴급한…

유족급여및장의비부지급처분취소 사건[대법원 2022. 5. 26. 선고 중요판결]

2022두30072   유족급여및장의비부지급처분취소  (아)   파기환송 [유족급여및장의비부지급처분취소 사건] ◇원고의 남편이 출장을 마치고 업무용 차량을 운전하여 근무지로 복귀하던 중 중앙선 침범으로 사고가 발생하여 사망한 경우, 위 사망을 업무상 재해로 볼 수 없는지 여부(소극)◇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37조 제2항 본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