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자자 전원의 동의가 있어야만 주식양도를 할 수 있도록 한 주주간 협약의 유효 여부 등이 문제된 사안[대법원 2022. 3. 31. 선고 중요판결]

2019다274639   주식양도절차이행   (가)   상고기각   [출자자 전원의 동의가 있어야만 주식양도를 할 수 있도록 한 주주간 협약의 유효 여부 등이 문제된 사안]    ◇주식양도에 출자자 전원의 동의를 요구한 주주간 협약이 유효한지(원칙적 적극)◇     주식의 양도를…

구 산업안전보건법(2019. 1. 15. 법률 제16272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제29조에서 정한 ‘도급 사업주’의 의미와 적용범위에 관한 사건[대법원 2022. 3. 31. 선고 중요판결]

2020도12560   업무상과실치사등   (자)   상고기각   [구 산업안전보건법(2019. 1. 15. 법률 제16272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제29조에서 정한 ‘도급 사업주’의 의미와 적용범위에 관한 사건]   ◇1. 구 산업안전보건법(2019. 1. 15. 법률 제16272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프로야구 선수인 피고인이 운동경기에 관하여 부정한 청탁을 받고 재물을 받았다는 사실로 기소된 사안[대법원 2022. 3. 31. 선고 중요판결]

2022도755   국민체육진흥법위반   (가)   상고기각   [프로야구 선수인 피고인이 운동경기에 관하여 부정한 청탁을 받고 재물을 받았다는 사실로 기소된 사안]   ◇실제로 부정한 청탁에 따른 부정한 행위를 할 생각이 없었더라도 국민체육진흥법 제48조 제2호, 제14조의3 제1항 위반으로 인한…

군인등강간치상죄 등의 성립 여부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2. 3. 31. 선고 중요판결]

2018도19472, 2018전도126(병합)   군인등강간치상등   (가)   상고기각   [군인등강간치상죄 등의 성립 여부가 문제된 사건]   ◇1. 형사재판에서 검사의 입증책임의 정도, 2. 인접한 시기에 같은 피해자를 상대로 저질러진 동종 범죄에 대해서도 각각의 범죄에 따라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이나 그…

한의사인 원고가 생약제제에 대한 처방권한이 있다고 주장하면서 피고 보험사로부터 기 지급받은 진료비 반환채무의 부존재확인을 구하는 사안[대법원 2022. 3. 31. 선고 중요판결]

2017다250264   채무부존재확인   (차)   상고기각   [한의사인 원고가 생약제제에 대한 처방권한이 있다고 주장하면서 피고 보험사로부터 기 지급받은 진료비 반환채무의 부존재확인을 구하는 사안]   ◇한의사의 처방범위◇     의료법이나 약사법의 이원적 의료체계에 관한 규정 취지 및 의약품에…

군인등강간치상죄 성립 여부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2. 3. 31. 선고 중요판결]

2018도19037   군인등강간치상   (아)   파기환송   [군인등강간치상죄 성립 여부가 문제된 사건]   ◇1. 형사재판에서 자유심증주의의 한계, 2.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을 판단할 때에 고려하여야 할 점, 3. 강간죄에서 공소사실을 인정할 증거로 사실상 피해자의 진술이 유일한 경우, 피고인의…

해고무효확인소송의 당사자였던 회사가 화해권고결정에 따라 원고에게 화해금을 지급하면서 이를 소득세법상 기타소득의 하나인 ‘사례금’으로 보아 원천징수해야 하는지 다툼이 있다는 이유로 원천징수금액에 대하여 원고와 대한민국을 피공탁자로 하여 상대적 불확지공탁을 하자, 원고가 대한민국을 상대로 위 화해금이 소득세법상 원천징수 대상인 ‘사례금’이 아니라고 다투는 사건[대법원 2022. 3. 31. 선고 중요판결]

2018다286390   공탁금 출급청구권 확인   (바)   상고기각   [해고무효확인소송의 당사자였던 회사가 화해권고결정에 따라 원고에게 화해금을 지급하면서 이를 소득세법상 기타소득의 하나인 ‘사례금’으로 보아 원천징수해야 하는지 다툼이 있다는 이유로 원천징수금액에 대하여 원고와 대한민국을 피공탁자로 하여 상대적 불확지공탁을 하자,…

단체협약으로 포기·반납이 가능한 임금·수당의 범위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2. 3. 31. 선고 중요판결]

2020다294486   임금   (라)   파기환송(일부)   [단체협약으로 포기·반납이 가능한 임금·수당의 범위가 문제된 사건]   ◇구체적 지급청구권이 발생하여 단체협약만으로 포기 등을 할 수 없게 되는 임금 · 수당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1) 근로계약은 근로자가 사용자에게…

해킹프로그램을 이용한 타인의 아이디, 비밀번호 탐지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2. 3. 31. 선고 중요판결]

2021도8900   전자기록등내용탐지   (바)   상고기각   [해킹프로그램을 이용한 타인의 아이디, 비밀번호 탐지가 문제된 사건]   ◇피해자의 컴퓨터에 해킹프로그램을 몰래 설치해 별도의 보안장치가 없는 인터넷 계정의 아이디, 비밀번호를 알아낸 행위가 형법 제316조 제2항 소정의 전자기록등내용탐지죄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방수공사비용을 손해방지비용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2. 3. 31. 선고 중요판결]

2021다201085(본소), 201092(반소)   채무부존재확인(본소), 보험금(반소)   (가)   상고기각   [방수공사비용을 손해방지비용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 문제된 사건]   ◇피고가 지출한 샤워실의 방수공사비용을 상법 제680조 제1항의 손해방지비용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     상법 제680조 제1항은 “보험계약자와 피보험자는 손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