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기능식품의 판매업 영업신고에 관한 사건[대법원 2020. 1. 9. 선고 중요판결]

건강기능식품의 판매업 영업신고에 관한 사건[대법원 2020. 1. 9. 선고 중요판결]   2016도16555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위반   (카)   상고기각 [건강기능식품의 판매업 영업신고에 관한 사건]   ◇1. 피고인들이 위탁하여 제조한 차전자피분말이 ‘건강기능식품’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2. 피고인들이 원료성 제품인 차전자피분말을 판매하기…

전화로 원외처방전을 발행하게 한 행위의 의료법 위반이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0. 1. 9. 선고 중요판결]

전화로 원외처방전을 발행하게 한 행위의 의료법 위반이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0. 1. 9. 선고 중요판결]   2019두50014   의사면허자격정지처분취소   (자)   파기환송   [전화로 원외처방전을 발행하게 한 행위의 의료법 위반이 문제된 사건] ◇의사인 원고가 전화로 지시하여 간호조무사로 하여금 원외처방전을…

관세법상 후발적 경정청구 사건[대법원 2020. 1. 9. 선고 중요판결]

관세법상 후발적 경정청구 사건[대법원 2020. 1. 9. 선고 중요판결]   2018두61888   관세경정거부처분취소   (카)   파기환송   [관세법상 후발적 경정청구 사건]   ◇1. 관세법 제38조의3 제3항에서 규정하는 후발적 경정청구제도의 취지, 2. 형사사건의 재판절차에서 납세의무의 존부나 범위에 관한 판단을…

공직선거법에서 선거운동과 관련하여 수당 또는 실비를 보상하는 경우에 최저임금법이 적용되는지 여부에 관한 사건[대법원 2020. 1. 9. 선고 중요판결]

공직선거법에서 선거운동과 관련하여 수당 또는 실비를 보상하는 경우에 최저임금법이 적용되는지 여부에 관한 사건[대법원 2020. 1. 9. 선고 중요판결]   2019도12765   공직선거법위반   (마)   상고기각 [공직선거법에서 선거운동과 관련하여 수당 또는 실비를 보상하는 경우에 최저임금법이 적용되는지 여부에 관한…

2020. 1. 10. 각급법원(제1,2심) 판결공보 요약본

2020. 1. 10. 각급법원(제1,2심) 판결공보 요약본   [민    사] 특허법원 2019. 8. 23. 선고 2018나2018 판결 〔손해배상(지)〕: 상고  울산지법 2019. 9. 18. 선고 2018가단61194 판결 〔손해배상(기)〕: 항소  수원지법 안양지원 2019. 10. 25. 선고 2017가합105413 판결…

대법원 2019. 12. 27. 선고 중요판결 요지

대법원 2019. 12. 27. 선고 중요판결 요지   [민    사]   2015다78857   채무부존재확인등   (나)   파기환송 [헬스클럽 회원들이 시설주체가 부과한 회비가 비합리적으로 산정되었다는 이유로 이를 납부할 의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면서 채무부존재확인을 구하는 사건] ◇헬스클럽의 시설주체가 회원들에게…

이동통신사인 원고와 보험사인 피고 사이에서, 원고의 고객 중 폰세이프 부가서비스에 가입하는 일부 고객을 피보험자로 하여 체결된 보험계약의 구조와 해석[대법원 2019. 12. 27. 선고 중요판결]

이동통신사인 원고와 보험사인 피고 사이에서, 원고의 고객 중 폰세이프 부가서비스에 가입하는 일부 고객을 피보험자로 하여 체결된 보험계약의 구조와 해석[대법원 2019. 12. 27. 선고 중요판결]   2016다224428(본소), 2016다224435(반소)   보험정산금(본소), 부당이득금(반소)   (자)   상고기각 [이동통신사인 원고와 보험사인 피고…

헬스클럽 회원들이 시설주체가 부과한 회비가 비합리적으로 산정되었다는 이유로 이를 납부할 의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면서 채무부존재확인을 구하는 사건[대법원 2019. 12. 27. 선고 중요판결]

헬스클럽 회원들이 시설주체가 부과한 회비가 비합리적으로 산정되었다는 이유로 이를 납부할 의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면서 채무부존재확인을 구하는 사건[대법원 2019. 12. 27. 선고 중요판결]   2015다78857   채무부존재확인등   (나)   파기환송 [헬스클럽 회원들이 시설주체가 부과한 회비가 비합리적으로 산정되었다는 이유로…

조계종에서 태고종으로 전종(轉宗)한 군법사에 대한 현역복무 부적합 전역처분 취소청구 사건[대법원 2019. 12. 27. 선고 중요판결]

조계종에서 태고종으로 전종(轉宗)한 군법사에 대한 현역복무 부적합 전역처분 취소청구 사건[대법원 2019. 12. 27. 선고 중요판결]   2019두37073   장교 현역복무부적합자 전역처분 취소청구의 소   (다)   파기환송 [조계종에서 태고종으로 전종(轉宗)한 군법사에 대한 현역복무 부적합 전역처분 취소청구 사건] ◇1….

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법률을 위반하여 문화재수리업 영위를 한 자에게 발주처에 대한 공사대금 편취의 사기죄가 성립하는지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19. 12. 27. 선고 중요판결]

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법률을 위반하여 문화재수리업 영위를 한 자에게 발주처에 대한 공사대금 편취의 사기죄가 성립하는지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19. 12. 27. 선고 중요판결]   2015도10570   사기   (라)   상고기각 [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법률을 위반하여 문화재수리업 영위를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