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 관정 시설 설치비용이 개발비용에 해당하는지가 쟁점인 사건[대법원 2022. 5. 26. 선고 중요판결]

2022두32900   개발부담금부과처분취소   (바)   파기환송 [지하수 관정 시설 설치비용이 개발비용에 해당하는지가 쟁점인 사건] ◇지하수개발․이용허가를 받아 지하수 관정 시설을 설치하는 데에 들인 비용이 토지 자체의 객관적 가치의 증가에 기여한 비용에 포함되는지 여부(소극)◇   1) 구「개발이익 환수에 관한…

채무불이행자명부 등재결정에 대한 즉시항고 사유의 범위가 문제된 사안[대법원 2022. 5. 17. 자 중요결정]

2021마6371   채무불이행자명부등재   (자)   파기환송   [채무불이행자명부 등재결정에 대한 즉시항고 사유의 범위가 문제된 사안]   ◇채무불이행자명부 등재결정에 대한 즉시항고 사유에 채무소멸 등 실체적 사유가 포함되는지 여부(적극)◇      채권자의 채무불이행자명부 등재신청에 정당한 이유가 없거나 쉽게 강제집행…

피고인이 제기한 비약적 상고에 항소제기의 효력을 인정할 수 있는지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2. 5. 19. 선고 전원합의체 판결]

2021도17131  강도 등  (나)  파기환송  [피고인이 제기한 비약적 상고에 항소제기의 효력을 인정할 수 있는지가 문제된 사건] ◇제1심판결에 대한 피고인의 비약적 상고와 검사의 항소가 경합하여 형사소송법 제373조에 따라 피고인의 비약적 상고에 상고의 효력이 상실되고 검사의 항소에…

행정행위의 하자승계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2. 5. 13. 선고 중요판결]

2018두50147   재산세부과처분취소   (가)   파기환송 [행정행위의 하자승계가 문제된 사건] ◇재산세부과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소송에서 표준지공시지가결정의 위법성을 다툴 수 있는지 여부(원칙적 소극)◇   표준지로 선정된 토지의 표준지공시지가를 다투기 위해서는 처분청인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이의를 신청하거나 국토교통부장관을 상대로 공시지가결정의 취소를 구하는…

건물의 위탁관리업자가 체납 관리비를 청구한 사건[대법원 2022. 5. 13. 선고 중요판결]

2019다229516   미수관리비   (다)   파기환송 [건물의 위탁관리업자가 체납 관리비를 청구한 사건] ◇1. 건물의 위탁관리업자가 체납 관리비를 청구한 후 소송수행 과정에서 관리위탁계약이 종료된 경우 소송절차가 중단되는지(원칙적 적극), 2. 이때 새롭게 관리위탁계약을 체결한 위탁관리업자가 소송수계신청을 할 수 있는지…

건설산업기본법 제35조 제2, 3항에 기한 하도급대금 직접 지급청구에 대하여 원도급인이 수급인에 대한 반대채권을 자동채권으로 한 상계가 허용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안[대법원 2022. 5. 13. 선고 중요판결]

2020다300671   물품대금  (다)   상고기각 [건설산업기본법 제35조 제2, 3항에 기한 하도급대금 직접 지급청구에 대하여 원도급인이 수급인에 대한 반대채권을 자동채권으로 한 상계가 허용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안] ◇건설산업기본법상 하수급인의 원도급인에 대한 하도급대금 직접 지급청구권의 성립요건이 충족된 경우, 하도급대금…

공개경쟁임용시험을 통해 일반직공무원(기술직)으로 임용된 자의 종전 민간근무경력이 호봉에 산입될 수 있는 ‘동일한 분야’의 경력에 해당하는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2. 5. 13. 선고 중요판결]

2021두63020   호봉정정거부처분취소   (가)   파기환송 [공개경쟁임용시험을 통해 일반직공무원(기술직)으로 임용된 자의 종전 민간근무경력이 호봉에 산입될 수 있는 ‘동일한 분야’의 경력에 해당하는지 문제된 사건] ◇구 「지방공무원보수업무 등 처리지침」(2020. 9. 28. 행정안전부예규 제12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에서 정한 ‘그에 상응하는…

명예훼손죄에서 사실의 적시와 의견표현의 구별이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2. 5. 13. 선고 중요판결]

2020도15642   명예훼손   (가)   파기환송 [명예훼손죄에서 사실의 적시와 의견표현의 구별이 문제된 사건] ◇‘이혼한 피해자가 왜 마을제사에 왔는지 모르겠다’는 내용 등의 이 사건 발언이 명예훼손죄에서 구체적인 사실의 적시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본 사례◇   명예훼손죄가 성립하려면 사실의 적시가…

민법 제536조 제2항의 불안의 항변권을 행사하기 위한 요건이 문제된 사안[대법원 2022. 5. 13. 선고 중요판결]

2019다215791   손해배상(기)   (가)   상고기각 [민법 제536조 제2항의 불안의 항변권을 행사하기 위한 요건이 문제된 사안]   ◇1. 고유의 대가관계에 있는 쌍무계약상 채무가 아니더라도 당사자 쌍방이 부담하는 채무 사이에 대가적인 의미가 있어 이행상 견련관계를 인정하여야 할 사정이…

부인권 행사에 따른 어음변제 효력의 소멸로 어음상 채권이 회복되는 경우 그 원인채권도 회복되는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2. 5. 13. 선고 중요판결]

2018다224781   물품대금   (가)   파기환송(일부) [부인권 행사에 따른 어음변제 효력의 소멸로 어음상 채권이 회복되는 경우 그 원인채권도 회복되는지 문제된 사건]    ◇부인권 행사로 인하여 어음발행인의 약속어음금 변제의 효력이 소멸하는 경우, 어음소지인이 전자(배서인)에 대하여 갖고 있었던 원인채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