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증의사가 표시되었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안[대법원 2022. 3. 17. 선고 중요판결]

2021다296120   사해행위취소   (바)   상고기각 [보증의사가 표시되었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안] ◇피고가 그 배우자의 물품대금채무 담보로서 자신 소유 부동산에 피고를 채무자로 하여 근저당권설정등기를 마쳐주었을 경우, 근저당권설정계약서가 구 보증인 보호를 위한 특별법(2015. 2. 3. 법률 제13125호로 개정되기 전의…

부동산 계약명의신탁의 명의수탁자로부터 주택을 임차하고 대항요건을 갖춘 임차인이 명의수탁자를 상대로 임대차보증금반환청구의 소를 제기하여 승소 확정판결을 받은 이후, 매도인을 거쳐 소유권이전등기를 회복한 명의신탁자를 상대로 임대차보증금 반환을 청구하는 사안[대법원 2022. 3. 17. 선고 중요판결]

2021다210720   임대차보증금   (바)   파기환송 [부동산 계약명의신탁의 명의수탁자로부터 주택을 임차하고 대항요건을 갖춘 임차인이 명의수탁자를 상대로 임대차보증금반환청구의 소를 제기하여 승소 확정판결을 받은 이후, 매도인을 거쳐 소유권이전등기를 회복한 명의신탁자를 상대로 임대차보증금 반환을 청구하는 사안] ◇1. 계약명의신탁이 무효임을 이유로…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에서 정당 지지 발언이 선거운동에 해당하는지 문제된 사안[대법원 2022. 3. 17. 선고 중요판결]

2021도16335   공직선거법위반등   (바)   상고기각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에서 정당 지지 발언이 선거운동에 해당하는지 문제된 사안] ◇1.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에서 특정 정당을 지지해달라고 호소한 행위가 공직선거법상 선거운동에 해당하기 위해 그 정당 소속 후보자들이 개별적으로 특정되어야 하는지 여부(소극), 2. 비례대표국회의원 선거에서 특정…

영상정보를 훼손당한 자의 의미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2. 3. 17. 선고 중요판결]

2019도9044   영유아보육법위반   (가)   파기환송 [영상정보를 훼손당한 자의 의미가 문제된 사건] ◇구 영유아보호법(2020. 12. 29. 법률 제1778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4조 제3항에 규정된 ‘영상정보를 훼손당한 자’의 의미◇   구 영유아보육법(2020. 12. 29. 법률 제17785호로 개정되기 전의…

영업주 몰래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하여 음식점에 출입한 경우 주거침입죄가 성립하는지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2. 3. 24. 선고 전원합의체 판결]

2017도18272   주거침입   (사)   상고기각 [영업주 몰래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하여 음식점에 출입한 경우 주거침입죄가 성립하는지가 문제된 사건] ◇ 1. 거주자의 승낙을 받아 주거에 들어갔더라도 범죄 등을 목적으로 한 출입이거나 실제 출입 목적을 알았더라면 출입을 승낙하지 않았을…

용역의 실비 공급 해당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대법원 2022. 3. 17. 선고 중요판결]

2017두69908   부가가치세 등 부과처분취소   (라)   파기환송(일부) [용역의 실비 공급 해당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 ◇부가가치세 면세 대상인 고유의 사업목적을 위하여 실비로 공급한 용역에 해당하는지 여부의 판단 기준◇   구 부가가치세법(2010. 1. 1. 법률 제9915호로 개정되기…

2012. 3. 21. 개정된 구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의 시행 전후에 걸쳐 이루어진 가습기살균제 표시위반 등 행위에 대해 법률에서 정한 제재처분을 할 수 있는 제척기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 등이 다투어진 사건[대법원 2022. 3. 17. 선고 중요판결]

2019두35978   시정명령 등 취소청구의 소   (가)   파기환송 [2012. 3. 21. 개정된 구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의 시행 전후에 걸쳐 이루어진 가습기살균제 표시위반 등 행위에 대해 법률에서 정한 제재처분을 할 수 있는 제척기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

적법한 공무집행인지 여부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2. 3. 17. 선고 중요판결]

2021도13883   공무집행방해   (라)   파기환송 [적법한 공무집행인지 여부가 문제된 사건] ◇1. 직무수행 과정의 여러 행위를 포괄하여 일련의 직무수행으로 파악할 수 있는지(한정 적극), 2. 공무집행방해죄에 있어서 공무원의 추상적 직무권한이 반드시 법령에 명시되어 있어야 하는지(소극)◇   형법 제136조…

가습기 살균제 관련 제조.공급자에 대하여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따른 거짓.과장 표시행위로 부과한 시정명령, 공표명령, 과징금납부명령의 제척기간의 도과 여부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2. 3. 17. 선고 중요판결]

2019두58407   시정명령및과징금납부명령취소   (자)   파기환송 [가습기 살균제 관련 제조・공급자에 대하여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따른 거짓․과장 표시행위로 부과한 시정명령, 공표명령, 과징금납부명령의 제척기간의 도과 여부가 문제된 사건] ◇제척기간에 관한 ‘위반행위 종료일’ 및 ‘조사개시일’의 의미◇   가. 공정거래위원회가…

주식매매계약에서 약정한 주식매수인의 주식매도인에 대한 매도청구권이 문제된 사안[대법원 2022. 3. 17. 선고 중요판결]

2021다231598   주식매매대금 청구의 소   (차)   파기환송 [주식매매계약에서 약정한 주식매수인의 주식매도인에 대한 매도청구권이 문제된 사안] ◇1. 당사자 사이에 계약의 해석을 둘러싸고 이견이 있어 당사자의 의사 해석이 문제 되는 경우 계약의 해석 방법, 2. 계약에서 일방 당사자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