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점포등관리자가 입점 상인을 상대로 미납 관리비의 지급을 구하는 사건[대법원 2022. 1. 27. 선고 중요판결]

2020다39719   관리비   (아)   파기자판 [대규모점포등관리자가 입점 상인을 상대로 미납 관리비의 지급을 구하는 사건] ◇종전 대규모점포등관리자가 구분소유자 겸 점유자인 입점 상인을 상대로 미납 관리비의 지급을 구하는 소송이 원심 계속 중 대규모점포등관리자가 변경되었을 때 새로운 대규모점포등관리자가 한…

폐쇄명령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사건[대법원 2022. 1. 27. 선고 중요판결]

2021두38536   폐쇄명령처분 취소   (가)   파기환송    [폐쇄명령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사건] ◇구 대기환경보전법(2019. 1. 15. 법률 제1626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8조 단서의 폐쇄명령 요건인 ‘그 설치장소가 다른 법률에 따라 그 배출시설의 설치가 금지된 경우’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독서실 교습정지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사건[대법원 2022. 1. 27. 선고 중요판결]

2019두59851   교습정지처분 취소   (라)   파기환송     [독서실 교습정지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사건] ◇독서실 열람실 내 남녀별 좌석을 구분 배열하도록 하고 그 위반 시 교습정지처분을 할 수 있도록 한 「전라북도 학원의 설립․운영 및 과외교습에 관한 조례」 제11조…

피고인이 교제하다 헤어진 피해자의 주거가 속해 있는 아파트 동의 출입구에 설치된 공동출입문에 피해자나 다른 입주자의 승낙 없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아파트의 공용 부분에 출입하여 주거침입죄로 기소된 사안[대법원 2022. 1. 27. 선고 중요판결]

2021도15507   주거침입등   (자)   상고기각 [피고인이 교제하다 헤어진 피해자의 주거가 속해 있는 아파트 동의 출입구에 설치된 공동출입문에 피해자나 다른 입주자의 승낙 없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아파트의 공용 부분에 출입하여 주거침입죄로 기소된 사안] ◇1. 거주자가 아닌 외부인이…

부동산 소유자 겸 채무자인 신청인이 근저당권을 이전받은 피신청인을 상대로 임의경매개시결정에 대한 이의신청을 한 사건[대법원 2022. 1. 14. 자 중요결정]

2019마71 경매개시결정에 대한 이의 (아) 파기환송   [부동산 소유자 겸 채무자인 신청인이 근저당권을 이전받은 피신청인을 상대로 임의경매개시결정에 대한 이의신청을 한 사건]   ◇근저당권을 이전받은 피신청인이 채권양도의 대항요건을 갖추지 못한 경우, 신청인의 임의경매개시결정에 대한 이의신청을 받아들일…

휴대전화에 대한 압수처분이 위법함을 이유로 그 취소를 구하는 사건[대법원 2022. 1. 14. 자 중요결정]

2021모1586 압수처분에 대한 준항고 기각결정에 대한 재항고 (바) 파기환송   [휴대전화에 대한 압수처분이 위법함을 이유로 그 취소를 구하는 사건]   ◇1. 혐의사실 관련성에 대한 구분 없이 임의로 저장된 전자정보를 문서로 출력하거나 파일로 복제한 경우 압수・수색의…

배상명령의 적법 여부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2. 1. 14. 선고 중요판결]

2021도13768 사기 (바) 파기자판(일부)   [배상명령의 적법 여부가 문제된 사건]   ◇제1심에서 배상명령신청이 변론종결 후 제기되었다는 이유로 각하된 후 원심에서 다시 동일한 배상명령신청이 제기되자, 원심이 배상명령을 한 것이 적법한지 여부◇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이하…

서면해고통지에 구체적인 비위행위가 기재되지 않고 축약기재되어 그 적법성이 문제된 사안[대법원 2022. 1. 14. 선고 중요판결]

2021두50642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 (차) 파기환송   [서면해고통지에 구체적인 비위행위가 기재되지 않고 축약기재되어 그 적법성이 문제된 사안]   ◇근로기준법 제27조에서 근로자에 대한 해고는 해고사유와 해고시기를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효력이 있다고 정한 취지와 위 서면에 해고사유를 기재하는 방법◇  …

수사기관의 피의사실 공표행위 등의 불법행위를 주장하며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사안[대법원 2022. 1. 14. 선고 중요판결]

2019다282197 손해배상(국) (바) 파기환송   [수사기관의 피의사실 공표행위 등의 불법행위를 주장하며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사안]   ◇1. 수사기관의 피의사실 공표행위가 허용되기 위한 요건 및 그 위법성 조각 여부의 판단기준, 2. 수사기관이 피의사실 외에 범죄를…

수임제한 위반으로 인한 변호사법위반죄에서 공소시효 완성 여부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2. 1. 14. 선고 중요판결]

2017도18693 변호사법위반등 (차) 상고기각   [수임제한 위반으로 인한 변호사법위반죄에서 공소시효 완성 여부가 문제된 사건]   ◇변호사법 제113조 제5호, 제31조 제1항 제3호 위반죄의 공소시효 기산점(수임행위가 종료한 때)◇   변호사법은 제31조 제1항 제3호에서 ‘변호사는 공무원으로서 직무상 취급하거나…